내부정보 투기 혐의 무죄 확정…LH 전 직원, 파면도 취소에 연봉 2억 수령
192억 부동산 투기 혐의로 파면된 LH 전 직원, 대법 무죄 확정과 함께 징계도 무효 판결
LH 전 직원의 파면은 정당했을까? 법원이 던진 의문과 해석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내부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 혐의로 파면됐던 한 직원이 형사 재판에서 무죄를 확정받은 데 이어, 민사 소송에서도 파면 무효 판결을 받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약 2억원의 미지급 연봉도 지급받게 됐습니다.
이 사례는 공기업 징계의 적법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습니다.

판결의 배경: 성남 재개발 정보와 192억 부동산 거래
2016년 성남시 재개발사업 추진 보고서를 접한 A씨는 관련 지역 부동산을 가족과 친척 명의로 다수 매입했습니다. 총 37회에 걸쳐 이뤄진 거래로 추정 이득은 약 192억원.
이에 검찰은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로 A씨를 기소했고, LH는 2021년 12월 A씨를 파면했습니다.

1심 실형, 그러나 2심에서 무죄…그 이유는?
1심 재판부는 A씨가 내부정보를 이용한 것이 명백하다며 징역 4년을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2심에서는 "정보가 이미 부동산 시장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판단, 무죄 판결을 내렸고 이는 대법원에서 확정됐습니다.
"당시 지역 부동산 시장은 이미 활황이었고, 공인중개사 5곳이 50건 이상 거래한 사실"이 주요 근거였습니다.
무죄 확정 후 이어진 민사 소송…LH의 파면 정당했나?
무죄 판결을 근거로 A씨는 LH를 상대로 “파면은 무효”라며 민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대해 LH는 “형사 무죄와 징계는 별개”라며 반박했으나, 법원은 파면 사유를 구체적으로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어떤 정보를 언제, 어떻게 얻었는지에 대한 입증이 부족했다"는 것이 법원의 핵심 판단입니다.
법원의 핵심 논거: 징계 정당성 입증 실패
재판부는 형사와 민사 판단 기준이 다르다고 전제하면서도, 징계 처분이 정당하려면 **“징계사유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LH 측은 막연한 주장만 제시했고, 그 정보 취득 시점과 방법을 특정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품위유지의무 위반"을 언급하더라도 징계 수준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무죄 → 파면 무효 → 2억원 임금 환급
이번 민사 판결로 인해 A씨는 파면 기간 약 2년 10개월 동안 지급되지 않았던 연봉 약 2억원을 다시 받게 됩니다.
이는 형사 무죄 확정이 징계 처분 무효로까지 확장되는 이례적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징계권, 어디까지 유효한가?
이번 사건은 공공기관이 내부 직원의 비위 의혹에 대해 어떤 절차와 기준으로 징계를 내려야 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단순한 의혹 제기나 언론 보도만으로 징계가 정당화되기 어려움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또한, "형사처벌과 징계처분은 별개"라는 원칙 아래에서도 징계의 증거 기준은 엄격해야 한다는 판례를 다시 확인하게 해주는 사례입니다.
행정권의 오남용 논란과 LH의 후속 대응 주목
이제 관심은 LH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내부 징계 절차나 규정을 어떻게 보완할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조직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징계 기준의 명확화와 투명한 내부 감시 시스템 정비가 필수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판결 이후, 조직과 개인의 명예 회복은 어떻게 가능한가?
무죄 판결과 파면 취소에도 불구하고 A씨는 이미 사회적 명예에 큰 상처를 입었습니다.
이번 사건은 혐의가 완전히 벗겨진 이후에도 조직으로부터 개인이 복권되는 과정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현실적 사례입니다.
향후 공공기관은 명예 회복에 대한 내부적 장치 마련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 쟁점 요약: 민사 vs 형사 vs 징계 기준 비교
구분 | 형사 재판 | 징계 처분 | 민사 소송 |
---|---|---|---|
판단기준 | 합리적 의심 여지 없는 증명 | 회사 내부 기준과 사규 | 입증책임과 정당성 |
결과 | 무죄 | 파면 (무효로 판결됨) | 연봉 환급 확정 |
책임주체 | 검찰 | LH 내부 징계위 | LH 법무부서 |
댓글
댓글 쓰기